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이폰8 플러스에서 마지막으로 찍은 사진 ^^)



저는 원래 아이폰8 플러스를 쓰던 유저인데요.

일 때문에 어쩌다 보니 아이폰XR 128GB 모델을 무료로 받아서 

보름정도 쓰고 있습니다. 

주변 지인들 중 XS와 XS Max를 쓰는 사람도 있어 비교하면서

간단한 사용기를 올려 봅니다. 


 


AP

A12 바이오닉 

XS / XS MAX와 동일 (헥사코어, 뉴럴엔진)  



RAM

3GB

 XS / XS MAX 보다 1GB 낮으나, 체감 못함 ( 늘 그래온 ios)



문제적인 디스플레이 

리퀴드 레티나 디스플레이 (LCD)

 XS / XS MAX 와같이 괴랄맞은 규격의 해상도임은 똑같지만, 

FHD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해상도에 명암비도 많이 낮음 


아이패드 3세대에도 쓰인 훌륭한 디스플레이지만!


해상도가 낮은게 가장 큰 문제

(실사용시 불편함이나 눈에 띌 정도라던가 그렇지는 않지만, 괜히 기분은 매우 안좋음)


번인현상때문에 아직은 OLED 보다 LCD를 선호하기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개인 호불호 문제... 

베젤은 두꺼운데, 비교하기 전이나 민감한 사람 아님 티가 나는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예전부터 참 이상하게 생각한 것이 있는데요. 

항상 해상도에서만큼은 안드로이드에 많이 밀리는데, 희안하게 예쁘고 선명한 화면을 만드는 것 같습니다.

 

카메라

전면은 XS / Max와 동일한 8메가 픽셀 트루뎁스 카메라 탑재


후면은 12메가 F1.8 와이드앵글 싱글카메라만 탑재 되어

광학줌 대신 디지털 줌 제공, 제한된 인물사진모드를 제공합니다. 


그외 OIS, 스마트 HDR, 4K 60프레임 촬영, 심도조절 등의 기능 차이는 없습니다.


저조도에서는 이전 작인 아이폰X나 아이폰8 시리즈보다 사진이 더 잘나오고

동영상 촬영시 스테레오 녹음이 가능한 점도 상대적 장점입니다. 




XS / Max와 달리 IP67 방수방진이 들어간것도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아쉬운 부분도 많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세로운 세대 아이폰을 사용 할수 있고

6가지 다양한 컬러와 128기가의 과하지 않은 용량 또한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쓰면서 든 느낌은 A12 바이오닉이라는 사람이 화려한 파티복 또는 정장을 벚고 

아디다스 트레이닝복을 걸친 느낌이랄까요? 

XS와 Max에 비해 캐주얼함이 많이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셀카를 자주 찍었기에 8플러스보다는 잘 사용하고 있고요.

다만... 인물사진으로 사람이 아닌 다른 피사체를 많이 찍었던 사람이라면 만족감이 떨어질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내심 중성화 당해버린 아이폰 느낌은 지울 수가 없네요 ㅠㅠ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패턴을 보았을때 XS/ Max를 구매해서 비싼값을 못할 것 같다고 생각되시면

XR을 구매하고 남는 돈으로  

에어팟, 워치, 아이패드 같은 다른 세컨드 디바이스를 한대 더 추가로 구매하거나

치맥을 사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그리고 저는 노랑이를 샀는데요. 

노랑색을 통신사 끼고 구매할 거라면, 재고 문제로 구하기 힘든 색상입니다.


실물을 보았을때 화이트 색상이 질리지 않고 오래 이쁘게 쓸수 있는 색상 같구요. 

코랄도 예쁘더군요~! 블루는 개인적으로는 좀 이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투명케이스는 필수 입니다. 애플이 뒷판 색깔 하나는 정말 잘 뽑네요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트위치는 게임 전용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11년 6월  6일 시작되어 

2014년 8월 25일,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 중개업을 하고 있는 아마존닷컴이 9억 7천만 달러를 주고 인수하였습니다.

(구글이 인수하려 했지만 현금박치기엔 장사가 없었던듯...독점 문제도 있었을 듯 하구요. )


세계최대의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이지만, 국내 시장에서는 아프리카TV로 인해 크게 성공을 이루지 못하였으나, 

다음팟 방송으로 하던 하스스톤 방송인들을 대거 영입하고, 이후 2016년 말 대도서관으로 시작된 아프리카 엑소더스를 기점으로 

종합게임 방송인들이 많이 넘어 오면서 현재는 아프리카TV에 이어 영향력이 커진 상태입니다. 


운영과 수익배분, 방송 화질같은 기술적 부분, 세계시장 등에 있어 아프리카TV에 비해 우수한 편이라 

앞으로 국내에서 더 발전 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보여집니다.


한편, 방송이 늘어나는 것과 비례에 발생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에 있어 

'트위치 코리아'의 운영방식이나 권한의 한계, 트위치 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는 분명 개선해야 할 문제로 보여집니다. 





트위치는 기본적으로 게임 카테고리별로 방송을 골라 볼 수 있습니다.

방송을 하는 스트리머가 게임에 따라 '카테고리'를 설정하게 되어 있고 

이 카테고리를 잘 못 설정하면 패널티를 받게 됩니다.

이 시스템때문에 최근에 어떤 게임들이 인기가 있는지 전세계라는 거대한 기준에서 알 수가 있습니다. 


또한 근래에 게임 카테고리 이외에 

그림을 그리는 방송, 요리 방송, 먹방, 캠방, 음악방송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좀더 다양한 컨텐츠의 방송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게임 방송이 주축이기에 게임방송이 제일 많습니다.)


트위치에서는 

방송을 하는 사람을 '스트리머'라고 지칭하며, 스트리머가 방송을 하는 방송국을 '채널'이라고 합니다.

트위치의 개인 방송들은 기본적으로 방송 시작과 중간애 스트리머에게 수익이 생기는 광고가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다시보기 역시 같습니다)


그리고 채널에서 '팔로우''구독'이라는 시스템이 있는데

팔로우는 '즐겨찾기'와 같은 개념으로 무료이며, 팔로우한 채널은 트위치 좌측의 메뉴나 자신의 팔로워 메뉴에서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작/중간 광고는 팔로우 유무에 상관없이 나옵니다.


구독은 일정 조건을 충족해 트위치와 계약을 맺은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 (또는 제휴회원)인 채널에만 활성화되는 시스템으로

매달 일정금액(4.99/9.99/24.99 달러 택1)를 지불하고 생방송과 다시보기의 광고를 제거하고 해당 스트리머가 만든 채팅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독 수익은 스트리머와 트위치가 일정 비율로 나누어 가지게 됩니다.)



구독 이외에 스트리머에게 후원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트위치의 서드파티인 트윕을 통해 방송화면에 보여지는 유료 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도네는 문자(음성으로 메세지를 읽어줌), 음성, 영상 등의 방식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보통 기본 천원부터 시작)


파트너 스트리머와 제휴 회원 자격의 스트리머에겐 추가적인 방법으로 비트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비트 역시 도네와 같은 방송 화면에 보여지는 음성으로 읽혀지는 메세지인데, 오직 문자만 가능하며 

채팅에서 비트를 보낸 사람만 쓸 수 있는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고 달러로 결제가 됩니다. 


처음 트위치를 보기 시작했다면,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이나 자주 하는 게임, 관심 있는 게임의 카테고리를 찾아 

해당 게임을 하는 스트리머의 방송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트위치 스트리머 추천 

(팔로워 10만~20만이상 스트리머들 중 주관적인 기준으로 뽑음)



풍월량:  https://www.twitch.tv/hanryang1125 종합게임


서새봄:  https://www.twitch.tv/saddummy  종합게임


쉐리: https://www.twitch.tv/kss7749 종합게임


우왁굳: https://www.twitch.tv/woowakgood 종합게임


미라지: https://www.twitch.tv/mirage720 오버워치


따효니: https://www.twitch.tv/ddahyoni 하스스톤


윤루트: https://www.twitch.tv/yoonroot 배틀그라운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