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캡티 마블의 주인공 3인방~ 퓨리, 마블, 구스 )


큰 스포는 없지만, 아무런 정보 없이 영화를 보고 싶은 분들은 읽지 말아주세요






1. 영화가 표현한 페미니즘 

(저는 그 어떤 차별도 반대하는 사람이고, 젠더 문제에 있어서는 양성평등주의자입니다.)


무슨 볼트모트도 아니고 언급만 해도 문제고, 어그로가 끌리고 싸우고... 

포털 영화 평점은 양극단주의자들 덕에 엉망이고... 정말 한심스러운것 같아서 

이 부분을 먼저 언급하고 후기를 쓰겠습니다.    


  

캡틴 마블은 페미니즘 영화 맞습니다. 

하지만 남혐 영화 아닙니다.  (포괄적으로 본다면, PC설정을 억지가 아닌 제법 자연스럽게 녹인 영화)


캡틴 마블, 캐롤 덴버스의 설정이 이를 잘 말해준다고 생각합니다.


■유년시절 캐롤 덴버스 (성별로 사회 역할군을 나누고 나약하다며 보호만 받는 이전 시대의 여성성 상징)

■파일럿시절 캐롤 덴버스 (차별을 맞서 이겨내고, 남성과 동등한 테스트를 통과한 공군 파일럿, 젠더문제 과도기 시대 상)

■캡틴 마블이 된 시점의 캐롤 덴버스 (편견과 변화의 갈등을 이겨낸 현대의 자주적인 여성성을 상징)


캡틴 마블은 우리나라 남성보다는 우리나라 여성분들이 보고 느끼는 것이 많아야 할 것 같은 영화였습니다.

그저 수박 겉 핥기 식으로 여자가 주인공이고 극을 이끌어가기에 그냥 좋았다고만 생각한다면... 

그건 뭐... 어쩔 수 없는 일이겠죠. 어차피 히어로 무비란게 의미를 찾고 느껴야하는 영화가 아닌 즐기는 오락영화니깐요.


아무튼 데미무어 주연의 "GI제인" 정도의 영화는 아니었지만, 

똑같은 것을 말하고 싶어하고 추구하고 싶어하는 영화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브리 라슨이 영화 외적으로, 언행에 있어 문제가 있었다고는 하지만,

영화 안에서는 그러한 문제는 전혀 없었다고 생각됩니다. 

연기도 잘 했고요. 미스 캐스팅이라고 할 정도로 겉도는 느낌도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스탠 리에 대한 애도를 SNS 통해 이상하게 했던건 분명 잘못!)



(씬 스틸러 구스)


2. 아쉬움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면, 스토리라인을 들을 수 있겠습니다.

캡틴 아메리카 윈터솔져나 시빌워 같은 스토리라인을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가장 최근작들인 토르 라그나로크, 앤트맨&와스프, 블랙팬서 정도는 

뽑아 줄 것이란 기대를 했는데요. 


초창기의 마블 영화, 인크레더블 헐크나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어벤져 정도로 회귀 한것 같아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극진행도 초중반에 걸쳐 루즈한 측면도 있었습니다.


영화 마지막부분이 제일 볼만했지만,

캡틴 마블이 워낙에 강하다 보니 긴장감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타노스 이전까지 마블 영화에서 자주 지적되던 

빌런의 존재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답습한 느낌입니다. 


MCU의 전체 스토리 줄기를 위해 존재감이 큰 빌런이 등장하지 못했다고해도,

정신적인 고뇌를 보다 많이 강조했었더라면 

빌런의 존잼감을 떠나 극적인 감동이 더 하지 않았을까 싶었습니다. 

(아이언맨3의 느낌 같았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  


그래도 우리가 아는 닉 퓨리와는 다른, 젊은 닉 퓨리의 모습과 귀여운 냥이 구스 덕분에

마블 특유의 잔재미는 잃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3. 스탠 리 

 

마블스튜디오의 오프닝 또한 스탠 리를 기리기 위한 스페셜 오프닝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시작부분에서 감동을 찐하게 먹었습니다.

스탠 리가 아니었다면 지금 우리가 열광하는 MCU는 없었겠죠.


할아버지... 까메오로 계속 보고 싶었는데....ㅠㅠ 



4. 쿠키 영상 닉 퓨리 & 어벤져스 엔드게임 


우리는 이제 쿠키 영상을 통해 닉 퓨리의 시크릿과 

엔드게임에서의 캡틴 마블을 짧게나마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그리고 크레딧이 완전히 올라간 뒤에...  

마지막에 마지막까지 자리를 떠나지 못하게 하는 

마블의 심보에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실관람 인증~)



5.결론 


캡틴 마블, 영화 외적인 부분이 아닌

그냥 영화로써 평가 하고 평가받아야 하는 영화입니다. 

 

그래서 원래 블로그 포스팅은 귀찮아서 잘 안하는데... 

포털 영화 평점가지고 싸움질 하는 사람들을 보다 보니 그냥 글을 쓰고 싶었습니다. 


100점 만점에 70점 중후반대의 평작, 

화려한 CG의 히어로 오락 영화지만, 수작으로 평가하기엔 스토리적으로 부족함이 눈에 보였던 작품 같습니다.  

  

마블 영화로써는 최초로 여성이 주인공인 마블히어로 영화이며 

어벤져스 엔드게임 개봉 전 징검다리 역할을 훌륭히 했고, 

엔드게임 이후를 이끌어가야할 새로운 마블 히어로 등장을 알린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두고 싶네요.  


캡틴 마블 재밌습니다!! ^^ 

마블이 마블한 영화니깐 극장에서 꼭 한번은 봐야 되는 영화입니다!!  



개인적으로 너바나 좋아하는데 가장 중요한 장면에서 귀에 익은 너바나의 Come As You Are 흘러 나와 너무 좋았습니다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느꼈던 점들을 장단점으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장점


1. 훌륭한 오픈월드 세계 

그냥 넓기만 한 오픈월드가 아닌 꽉 채워진 느낌의 오픈월드였습니다.  

의미 없는 이벤트, 서브퀘스트가 없으며 무척이나 선택적이었고

어떤 퀘스트를 먼저 하던 상관없이 자유롭게 플레이 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2. 그래픽과 최적화 

사실적인 그래픽임에도 

3년전 구매해 그래픽 카드만 1060으로 업그레이드한 저의 컴퓨터에서 FHD, 울트라옵션, 60프레임 (고정적이진 않았지만..)이 나왔습니다. 



3. 동료 시스템

동료들을 모으며 각 동료들의 스토리를 보는 맛도 있고

미션만다 적절한 구성을 만들어 게임을 하는 재미도 있었습니다.



 4. 사운드

차량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은 물론, 캐릭터들의 성우 연기, 배경효과음 등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5. 심플한 성장시스템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면 주는 성장포인트로 스킬을 찍을 수 있다는 점과

따로 재료를 모을 필요 없이 돈을 모아 무기를 업그레이드 할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게임 내 돈을 모으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었기 때문이죠. 


6. 맵에디터와 아케이드

게임의 수명을 늘려줄 훌륭한 컨텐츠라고 생각 되었습니다.





단점


1. 전체적인 스토리는 마음에 들었지만, 메인스토리 진행 방식에 있어 버그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생뚱맞을때가 많았습니다.

비행이나 차를 타고 가다 갑자기 납치 되었다며 메인이벤트가 진행된다던지 할때는 더욱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2. 미친듯이 많은 적들

어떻게 보면 장점이 될수도 있겠지만, 차를 타고 이동이하기 불편할 정도로 많이 나와서

나중에가면 전투를 피해 산길을 다니고 필요한 전투는 암살플레이를 하게 되었습니다.  



3. 다양하지 않은 총기

얼마 없는 총에서 결국 쓰는 총만 쓰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초반에 활, 중 후반에는 소음기를 장착한 저격총은 필수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예상보다 멍청한 적 NPC 

보통 난이도여서 그런것인지 모르겠지만, 적 NPC가 멍청하다고 느꼈던 때가 종종 있습니다. 


5. 잔버그들

낙하산을 타고 착지를 했는데 바닥을 뚫고 죽어버린다던지... 하는 버그들 경험했습니다.





사실 단점들의 경우 추후 

업데이트와 DLC가 나온다면 충분히 좋은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지만,

발매 연기를 하며 나온 게임치고는 완성도가 살짝 떨어진다는게 조금 아쉽다고 느껴지네요. 




오픈월드, 모험, FPS, 수려한 그래픽 등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구매하시면 재밌게 플레이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특히 이번 파크라이5로 시리즈를 입문하려는 분들의 경우,  구매하셔도 크게 후회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기존 파크라이 시리즈를 재밌게 하셨던 분들의 경우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 있다고들 하네요. 


전반적으로 게임이 잘 만들어졌고 충분히 오래 플레이 할수 있는 게임이기에 

지갑에 여유가 되신다면 골드 에디션을 구매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 같습니다. 

(비싸기만 한것이 아닌 구성이 알찹니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그리 좋은 사양의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ㅜㅜ 그냥 스타2 중옵 정도 돌아가고 포토샵 쫌 돌아가면 그만이라능~ㅋ) 


-전 컴퓨터 전문가가 아니기에... 그냥 라이트한 리뷰입니다. 

앞으로 출시하게 될 윈도우8에 호기심이 있으신 라이트한 유저만 읽어주세요 (캡쳐가 좀 많으니, 스왑주의) -



현재 여러가지 버전이 돌아다니고 있는데

위 캡쳐에서 보시다시피 제가 설치한 윈도우8은 엔터프라이즈 64비트입니다. (인증은...뭐... 약간의 트릭으로...)



이번 윈도우8의 경우 "터치스크린의 모바일, 타블렛"과 "데스크탑" 모두를 염두해두고 개발되었기때문에 

윈도우7에 비해 가볍고, 인터페이스에 있어 상당히 큰 변화가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사용할때는 좀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게 뭐지? 종료버튼은 어디에?" 이런느낌이랄까요?


특히 윈도우 시리즈의 전통적인 바탕화면 작업표시줄의 시작버튼(시작메뉴)가 없어서 좀 허전한 느낌입니다.

(시작메뉴의 자리를 스타일UI가 이어 받았죠^^ )


일단 저는 위에서 언급했든 컴사양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윈도우8에 대해 윈도우7보다 그 만족도가 높습니다.

물론 호환성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는(정식출시 전, RTM버전) 윈도우7에 비해 부족합니다만...


체감상, 윈도우7 발매 초창기와의 상대적인 비교를 해보면 

윈도우8의 호환성이 그리 나쁘지 않는 듯 싶습니다. 

음... 예를 들어 생각해보면 

윈도우7 때는 초등학교(xp) 나오고 중학교(비스타) 건너뛰고 고등학교(7) 가는 상황이나 다름 없었고, 

지금 윈도우8의 경우 고등학교(7)에서 대학교(8) 가는 상황이라 생각되네요.

그러니 당장 호환성에 문제가 있는 프로그램도 적고, 있다하더라도 정식출시 후 금새 호환이 이뤄질거라 생각됩니다.


(즉, 윈도우7 초창기 호환성에 대한 말들이 많았던건... 병X같은 비스타때문임!!이라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 좀 많이 오래된 삼성제 흑백 레이저복합기도 윈7드라이버로 잘 사용중, 네이버 n드라이브 탐색기는 호환불가 ㅠㅠ)   




윈도우8을 설치하고 부팅을 하면 제일먼저 반겨주는 화면은 바로 "잠금화면"입니다. (마치 타블렛이나 스마트폰같은) 

그 다음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핫메일 등..)으로 로그인을하면

아래처럼 스타일UI가  반겨줍니다. 

(윈도우8 이전까지 매트로UI이라 불리던 스타일UI... 여러가지 법적인 문제로 명칭을 변경했다고 합니다)


윈도우8은 기본적으로 윈도우 모바일기기에서 사용되던 타일스타일의 스타일UI과 기존의 바탕화면 이원화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양자의 전환의 경우 스타일UI 상에 있는 타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윈도우키를 사용(->이게 제일 편한 방법입니다)

마우스를 화면 좌측아래 모서리 끝으로(이전까지 시작버튼이 있던...)가져가면 전환 할 수 윘는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또는 화면우측 상하모서리 부근으로 마우스를 이동시켰을때 나오는 메뉴를 통해...)


그냥 단순하게! 안드로이드의 홈화면-어플서랍의 관계와 같다고 생각하시고 사용한다면 어색하지 않을 듯 싶더군요.




(시작버튼이 사라진 바탕화면... 왠지 쓸쓸한 느낌 ㅠ^ㅠ)

이 바탕화면상에서 마우스 커서를 어느쪽 "모서리"에 가져가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메뉴와 동작을 하게되는데..

그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측상단 모서리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고 좌측라인을 따라 살짝 내렸을 때에 나오는 화면입니다.

(스타일UI상에서도 마찬가지... 단, 아래 스타일UI전환만 나타나지 않습니다)

스타일UI에서만 실행할수 있는 '앱'들의 실행상태를 보여주거나 전환 할수 있고, 우클릭 통해 닫을 수 있습니다. 




마우스커서를 우측 상,하단 모서리로 가져갔을때 나타나는 메뉴


위 상태에서 우측라인을 따라 마우스를 위 또는 아래로 살짝 내렸을때 아래 캡쳐와 같은 상태로 변경됩니다.

"검색"은 설치된 프로그램 검색

"공유"는 공유가 설정된 항목을 표시

"시작"은 스타일UI 전환

"장치"는 데스크탑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로의 확장등의 기능



"설정"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제어판 및 네트워크, pc, 개인설정, PC정보등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전원버튼!!!이 여기 붙어 있습니다. 


가장 아래 PC 설정 변경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정품인증 사용자가 아니기에 개인 설정 변경이 안됩니다만... 인터넷상에 떠도는 변경툴을 이용해 변경이 가능 합니다)




다시 바탕화면(데스크탑 화면)으로 돌아와서 


마우스를 바탕화면 상단에 가져가면 손바닥 모양으로 커서가 바뀜니다.

좌클릭하고 끌어서 드레그 하면 데스크탑화면이 작은창으로 변하고 이것을 좌,우에 배치하거나 할수 있습니다. 

(스타일UI상 앱들도 위와같이 할수 있습니다)


글로 설명하면 무슨 소린지 모르시겠지만 아래와 같은 분할화면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 



탑색기 리본메뉴, 

탐색기의 상단메뉴 창에 뭔가 전에는 없던 것들이 생겼습니다. 

기존의 탐색기보다 한결 사용이 편해졌다고 느껴지더군요 ^^   





윈오우8에서는 익스플로러10이 사용되는데요. 당연 9에 비래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속도 이외에 몇가지 특징이라면 호환성이 좋다는 점(F12키를 누르면 이전버전의 익스플로러로 볼수 있게끔 하는 메뉴도 있더군요)과

 우클릭 시 크롬 브라우저처럼 자체적인 번역서비스인 "Bing번역서비스"가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아래 캡쳐처럼 스타일UI 익스플로러10과 데스크탑 익스플로러10, 두가지 형태로 내장되었다는 점을 들수 이겠네요.   

(스타일UI상에서 실행한 익스플로러10)

(스타일UI상에서 실행한 익스플로러10)


(데스크탑 바탕하면 상에서 실행한 익스폴로러10)



그 밖에 "스토어"에서 스타일UI상에서 사용할수 있는 각종 앱들을 다운로드해 설치 할수 있습니다 (아직 그 종류가 많지는 않더군요.)

(알씨, 간단한 사진수정을 간편하게 할수 있습니다)


(뉴스, 처음화면 언론사별로 나오고, 클릭하면 자세한 뉴스가 나옵니다. 언론사 추가삭제 기능을 넣었으면 좋겠더군요.)


 

(스포츠 뉴스는 이렇게 따로 볼수 있습니다. 각종리그 경기 일정 및, 팀들의 스쿼드등을 볼수 도 있습니다)



  (Bing 검색화면, 클릭하면 스타일UI용 익스플로러10으로 자세히 볼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음악,비디오등의 어플의 경우... 딱히 만족스럽지는 않더군요.

날씨, 피플, 메일 등의 어플등은 만족스러웠습니다. 

게임의 경우 엑스박스 유저이기에 연결이 흥롭기만 했습니다. 딱히 쓸모가 있어보이지 않아서 말이죠.

(사용계정을 다른 것으로 해둔 탓도 있습니다 ㅠㅠ 엑박계정으로 바꾸기엔 이미 먼 길을...)

앞으로 정식출시가 되고 좀더 많은 어플들이 스토어에 등록이 되면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좀더 전문적인 기능이나 활용에 대해서도 쓰고싶지만...

제가 그 정도의 전문지식이 있는것도 아니고, 애초에 언급했듯 라이트한 사용자로서의 라이트한 리뷰라...

캡쳐만 뭐나게 첨부해 그냥 윈도우8은 이렇다~만 보여들였습니다. ^^ 

(좀더 전문적인 지식에 관해서는 '윈도우포럼'이라던지 '전문리뷰 블러그'등에서 찾아보세요)


아! 그리고 개인적으로 윈도우8 스타일UI을 사용하기 전에는, 


타블렛같은(터치스크린이 기본인)모바일장치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인터페이스라 불편할 것 같았는데... 

데스크탑에서의 사용도 그리 편한지만은 않을 듯 싶었습니다.


오히려 시작 메뉴보다 보기도 좋고, 사용도 편하다는 생각도 들었구요. 

뭐...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들이 뿌려져 있는 것을 

보기 싫어하는 제 개인 취향이 한몫하기도 했구요 ^^;


그리고 몇가지 단축기만 알아둔다면 더욱 편하게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