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싸이월드 등에 
메신저 역할 강한 카카오톡, 네이버톡, 마이피플, 구글톡 등의 각종 톡 어플의 등장...   

요즘은 각종 SNS의 춘추전국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 하다.

이런 가운데 구글에서 야심차게 
시작한 SNS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구굴플러스(Google+)이다. 

과연 구글 플러스가 기존의 인기 SNS들 사이에서 충분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현재 구글 플러스는 평가판, 즉 테스트를 하는 중이다.
그래서 아직은 기존 사용자의 초대장이 없이는 가입이 되지 않는다.   

개인적인 예상으론 정식 서비스가 되면
구글계정만 있다면 쉽게 가입이 이루어 질 것이란 생각이 든다. 




기본적인 서비스의 형태는 

글을 쓰고 친구가 그것에 댓글을 달고, 채팅, 메일(지메일 연동), 페이스북의 그룹과 같은 "써클" 등 
페이스북과 매우 유사하다.



구글 플러스만의 장점이자 차이점이라면,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들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과 
기존 구글의 인기서비스들과의 자연스런 연동이라고 할수 있겠다.


웹앨범 서비스인 피카사웹, 
UCC동영상 서비스인 유투브
(아직은 기존 쓰고 있는 유투브 채널과 연동은 안되는 듯 하지만, 구글 플러스에서 동영상 업로드 시 유투브 동영상으로 업로드 됨) 
지메일 일정,연락처, 
구글맵  등의 연동.... 
기존에 존재하는 거대하지만 서로간의 연결점이 미약했던 인프라들을 
구글 플러스라는 강한 구심점과 같은 연결점으로 묶는다면 
성격이 비슷한 페이스북에 충분히 대항 할수 있다고 생각된다.  



추가적으로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Start G+"이란 확정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페이스북, 트위터에 같이 글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용 어플의 경우
아이폰, 안드로이드용 무료버전이 모두 나와있고, 영문 버전이지만 어렵지 않게 사용할수 있다. 
다만, 아직 국내 안드로이드마켓에는 구글 플러스 어플을 검색 할수 없고, 
미국 안드로이드 마켓로 변경해 설치하거나,
검색을 통해 apk파일 받아 설치해야만 한다.
(국내 정식 서비스가 실행되면 어플도 자연스럽게 풀릴 듯...)
어플자체는 구글의 제작한 만큼, 
안드로이드용 "공식"트위터, 페이스북 어플보다 퀄리티나 사용편의성, 속도면에서 
최적화가 잘 되었다고 생각된다.  
  


수도 없이 나오고, 또 개선되는 SNS춘추전국시대에 
구글 플러스는 기존 SNS를 뛰어넘을만한 충분한 가능성을 지닌 유망주라고 할 수있겠다. 
다만, 
아무리 잠재된 가능성과 피지컬을 가지고 있는 유망주라고 해도
자기 관리를 잘못한다면 전성기를 맞이하기도 전에 퇴물이 되거나 개살구 취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구글이 이점을 명심하고 지난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란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어떤 것이든

구글캘린더,  지메일, 연락처, 피카사웹앨범과 동기화가 가능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피카사3'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쉽게 PC의 이미지를 피카사웹에 동기화 시키고,

다시 안드로이폰의 갤러리와 동기화 시키는 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래의 주소로 가서  피카사3를 설치합니다

http://bit.ly/eKd5RG 

 

 

 

피카사를 실행하면, 자신의 PC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읽어옵니다.

 


위의 캡쳐는 피카사를 실행하고 이미지를 모두 읽어온 상태입니다.

 

 

 

좌측에 폴더들을 보시면 파란색으로 '동기화'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저렇게 표시가 된 폴더들의 이미지가 피카사웹앨범과 동기화 ( 업로드) 되어져 있는 것 입니다.

 

저렇게 폴더를 웹과 동기화 시키려면 먼저,

 

파카사3 프로그램 우측상단에 '웹앨범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피카사웹의 계정은 구글계정과 연동이됩니다.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라면, 당연히 구글계정을 가지고 계시겠죠? ^^

 

자신의 구글계정으로 로그인해줍니다.

그러면 위 캡쳐처럼 로그인 상태가 되고 웹앨범 접속 메뉴와 로그아웃 버튼으로 변합니다.

 

웹앨범 접속을 클릭하면 인터넷브라우저가 실행되며

파카사웹앨범에 접속합니다만. 

처음엔 업로드를 한 이미지도 동기화설정을 한 이미지도 없기에 아무 이미지도 없을 것입니다.

 

이제 웹앨범에 이미지를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좌측에 표시된 폴더들 중 자신의 원하는 폴더를 하나 선택합니다.

 


 

그리고 나서 해당 폴더의 우측 상단의 동기화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이미지 갯수와 용량에 따라 업로드 시간이 짧을 수도 길수 도 있습니다.

위 스샷처럼 이미지마다 동기화 표시가 모두 뜨면 동기화가 끝이 난 것입니다.

 

앞으로 피카사3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때마다 자동으로 변경사항을 피카사웹에 반영합니다.

(동기화 된 폴더에 이미지가 추가 되면 자동으로 업로드 됨)

 

 

 

다시 웹앨범에 접속하면

자신이 동기화 시킨 폴더대로 아래 캡쳐와 같이 업로드 된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능을 활용하면,

원치않는 치명적 오류로 인해 하드디스크를 포맷해도

사진만큼은 자동으로 웹앨범에 백업을 할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피카사 웹앨범은 1기가의 무료용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이상은 유료)

 

 

 

 

 

그럼 이제 피카사웹앨범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을 안드로이드폰과 동기화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드로이드폰의 환경설정-> 계정 및 동기화에 들어갑니다.

 

그러면 위의 좌측 캡쳐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서 자동동기화에 체크를 하셨다면 자동으로 동기화가 이루어 지겠지만,

자동동기화 기능은 베터리를 많이 잡아먹는 경향이 있어

많은 분들이 자동동기화 기능을 끄고 계실 것입니다.

 

수동 동기화 방법은

'g'라는 아이콘으로 표시된 구글 계정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서 피카사 웹앨범 동기화를 선택하면

동기화가 이루어 집니다.

(와이파이 상태에서 하세요, 무제한요금제라면 3G도 상관 없습니다)


 

그뒤 갤러리를 가보시면, 위 캡쳐와 같이 회색 피카사 아이콘이 표시된 폴더들이

쭈욱 나타날 것입니다. (피카사웹앨범의 이미지들..)

 

이 기능은 기본적으로 폰에 웹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저장이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네트워크를 이용해 웹에 저장된 이미지를 보여 주는 것이기 때문에,

저장된 이미지를 볼때보다는 로딩이 조금 긴 편이고, 데이터사용량을 약간 잡아 먹습니다(아마도...)

 

하지만, 무제한 요금제라던가, 와이파이 상태에서는 크게 상관할 정도가 아니면,

설사 3G무제한 요금제가 아니더라도, 데이터사용향을 크게는 잡아먹지는 않습니다.

 

한달 500MB 요금제를 쓰더라도, 그것을 전부 사용하는 경우는 드믄것 처럼 말이죠.     

 

 

 

또한 웹에 저장된 이미지를 동기화해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저장된 이미지와는 다르게 몇가지 사용이 불가능한 기능들도 있습니다만,

 

제가 확인한 것은   배경화면,락화면 지정, 홈화면 액자지정등의 기능을 사용가능하고

MMS나 카카오톡 배경, 이미지보내기 등도 가능합니다 (이때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해 보내집니다.)

 

 

ps. 되도록 쉽게 설명 드리려 노력했는데, 좀 번접한 설명이 되었네요 ㅜㅜ

     하지만, 피카사3 프로그램 자체가 한글화가 잘 되어 있어 찬찬히 설명대로 따라 해보시면 쉽게 하실 것 입니다.

     동기화에 대한 이해도 어느정도 있어야 겠지만요.   

     

     언듯 보면, 그냥 핸드폰에 이미지를 집어 넣으면 되지 않나... 하는 생각들도 있으시겠지만,

     이 기능을 쓰다보면, 장점도 많고, 백업이란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